1. 경구용 치료제의 필요성
-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발생에 따라 기존 백신의 예방 효능이 하락
-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라지지 않고 감기처럼 일상생활에 존재할 것으로 전망
- 감기약과 동일하게 코로나 치료제를 통한 일상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는 판단하에 백신에서 코로나 치료제 개발 및
제조 업체들에 대한 관심 확대
- 각국에서는 경구용 치료제 개발을 놓고 경쟁 중
- 미국에서는 경구용 치료제 개발을 위해 32억 달러를 투입하며 전폭적인 지원 중
2. 업체별 경구용 치료제 개발 현황
① 휴머니젠
- 휴머니젠의 렌질루맙, 영국 식약처에 사전 승인
- 코로나19 치료제의 영국내 판매승인을 위한 사전검토서류를 제출
- 5월 28일, 미국 FDA 긴급사용승인(EUA) 신청
- “텔콘RF제약”과 “케이피엠테크”는 휴머니젠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투자
- 지난해 11월 휴머니젠으로부터 렌질루맙의 국내 및 필리핀 지역 판권을 확보하면서 관련주로 편입
② 제넨셀
- 제넨셀은 코로나19 치료제 ES1600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스아웃 계약 관련 3자 업무협약 양해각서 (MOU)를 체결
- 스위스 바이러스 전문 바이오텍 RDP Pharma AG 및 RDP Pharma AG의 국내 합작 바이오 텍 PAGS와 ES1600 치료제
개발
- 현재 유럽에서 임상2b/3상을 준비 중
- “리더스 기술투자”는 지난 2월 “한국파마”와 함께 유상증자를 통해 벤처 제약사 제넨셀에 투자
③ 셀트리온
-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“렉키로나”
- 셀트리온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'렉키로나' 의 세포 수준 실험과 동 물효능시험 진행 중
- 렉키로나는 베타(남아프리카공화국 발)와 감마 (브라질 발) 변이에 대해 세포수준 중화능이 낮 은 반면 동물효능시험
에선 높은 효과를 선보임
- 셀트리온은 델타 변이에 대해서도 6월 중으로 동물효능시험 결과를 확보할 방침
④ 진원생명과학
- GLS-1027은 미국 식품의약국(FDA)의 승인
- 미국과 푸에르토리코에서도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국내 및 불가리아에서도 임상 승인을 검토 중
- 글로벌 임상 2상을 북마케도니아에서 승인
- 해외 BSL3 실험동물 평가 기관을 통해 공격 감염 동물실험 결과와 현재 진행중인 임상연 구의 중간결과를 확보해
GLS-5310의 남아 공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를 발표 할 계획
⑤ 대웅제약
- 코로나19 경구용치료제로 개발 중인 '코비블록' 임상 2b상 투약 완료
- 6월 중 임상 2b상 결과 발표
- 결과가 충족되면 3분기 안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 예정
- 현재 4건의 임상을 진행 중인데 향후 3상까지 500억원가량의 비용 예상
⑥ 골드퍼시픽
- 골드퍼시픽 자회사, “APRG64” 경구용 치료제 개발
- 한국파마, 제넨셀 등과 함께 램데시비르 50 배 이상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“APRG64” 개발 중
- 올 3분기 인도 임상1상을 마치고 국내 및 인도 및 유럽연합 글로벌 임상2상을 주도적 으로 진행
-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임상1상이 빠르면 7월 말 완료될 예정
⑦ 한국비엔씨
- 세계 최초 경구용 치료제 '안트로퀴노놀'의 대만 FDA 긴급승인
- 대만 FDA에 신청한 코로나 치료 후보물질인 '안트로퀴노놀'의 경증 내지 중증 코로나 19 감염환자 100명에 대해
치료목적 사용의 긴급승인을 6월 30일 획득
- 세계 최초 경구용 치료제 '안트로퀴노놀'의 미국 FDA 긴급승인 기대감
- 안트로퀴노놀의 임상2상 시험결과가 긍정적 일 경우 미국 FDA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할 계획
'주식 정보(IPO 일정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중 갈등에 따른 무역분쟁 재발 시사 (0) | 2021.07.20 |
---|---|
배터리 수요에 한국 2차 전지 소부장 부각 (0) | 2021.07.19 |
5인 금지, 거리두기 강화 가능성 시사 (0) | 2021.07.16 |
전력소비 증가에 따른 에너지 산업 주목 (0) | 2021.07.16 |
코로나19 확진자 폭발!! 경구용 치료제 필요성 급상승!! (0) | 2021.07.15 |
대규모 투자에 따른 2차 전지 산업주목!! (0) | 2021.07.14 |